() 해외배송 가능
상품명 | 제7일 |
---|---|
출판사 | 푸른숲 |
저자 | 위화 |
출간일 | 2013.08.26 |
page | 300 |
소비자가 | |
판매가 | 11,700원 |
적립금 | 117원 (1%) |
상품코드 | P00000CD |
국내·해외배송 | 국내배송 |
배송방법 | 택배 |
배송비 | 3,500원 (3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
SNS 상품홍보 | ![]() ![]() |
---|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책소개|
세계가 사랑한 작가
중국 최고 이야기꾼의 귀환!
《허삼관 매혈기》《인생》으로 한국 독자들에게 중국 소설의 새로운 재미를 일깨워준 위화의 신작 장편소설이다. 작가 스스로도 ‘30년 문학 인생의 결정판’으로 꼽는 작품이며 한국인이 가장 사랑한 중국 작가로 꼽히는 위화의 매력을 오랜만에 한껏 음미할 수 있는 작품이다.
이 책은 주인공 양페이가 불의의 사고로 죽고 난 후, 이승은 떠났지만 저승으로 넘어가지 못한 7일 동안(창세기에서 모티브를 땄다) 벌어지는 일들을 담았다. 작가는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보내면서도 사회의 부조리마저 유머러스하고 흡인력 있는 이야기로 탈바꿈시키며 독자들로 하여금 웃음과 눈물을 동시에 경험하게 한다.
위화는 인생 자체에 물음을 던지고 그에 대한 해답을 향해 우직하게 걸어가며 한 자 한 자 써내려가는 작가다. 그의 작품은 ‘인간이란 어떤 존재이며, 인생이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해 독자들로 하여금 곱씹어보게 하는 저력을 지니고 있으며, 정이나 관계, 인연이나 인간성 등 인류가 부딪치며 살아갈 수밖에 없는 인생의 요소들을 작품 곳곳에 풍부하게 담고 있다.
또한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로의 전환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 여느 나라와도 다른 여정을 꿋꿋이 밟아가는 중국 사회만의 개별성을 작품 안에 잘 녹여내어 독자들을 더욱 다채롭고 흥미진진한 경험으로 이끈다. 그의 작품은 독자들이 원하는 재미와 감동을 주는 차원을 넘어 중국 사회를 이해하는 문화적 창문의 역할까지 나아간다.
작가는 생과 사라는 문제를 작품 정면에 던져놓음으로서 숙명이라는 물음과 마주한다. 사랑하는 이들을 떠나는 인물들을 통해 작가는 서러움과 슬픔을 담담히 묘사한다. 만남과 이별을 연거푸 겪으면서도 주어진 자리에서 자신의 삶을 걸어나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묵묵히 살아가는 우리”를 보여준다.
|저자소개|
1960년 중국 저장성(浙江省)의 항저우(抗州)에서 태어났다. 아버지가 마련해준 도서대출증을 이용해 매일 책을 읽으며 소년 시절을 보낸 그가 소설가로 나선 것은 1983년, 단편소설 「첫 번째 기숙사(第一宿舍)」를 발표하면서부터다. 이후 「18세에 집을 나가 먼길을 가다(十八歲出門遠行)」, 「세상사는 연기와 같다(世事如烟)」 등의 단편과 장편 『가랑비 속의 외침(在細雨中呼喊)』을 내놓으며 ‘중국 제3세대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부상했다.
|줄거리|
첫째 날 아침에 일어난 주인공 양페이는 화장터에 오라는 통지가 문앞에 붙어 있는 것을 발견한다. 죽은 것이다. 얼굴이 다 뒤틀려 있고 수의도 갖춰 입지 못한 양페이는 신혼 때 마련한 커플 잠옷을 입고 화장터에 간다. 화장터에서는 화장하는 순서를 번호표로 나눠주고 있다. 유골함도 묘지도 없는 사람은 화장된 후 갈 곳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된 양페이는 화장터를 나선다. 그렇게 이승과 저승 사이를 떠도는 양페이는 둘째 날, 셋째 날 등을 차례로 지내면서 이승에서의 삶을 되돌아본다. 짧았던 3년간의 결혼 생활, 기찻간에서 태어나 철로로 떨어져 21살의 선로공이었던 양아버지의 보살핌을 받은 일, 대학 졸업 즈음 친부모와 재회한 일 등 자신의 삶을 재구성하면서 중간 중간 마주쳤던 인연들과 사건들이 7일 안에 녹아들면서 이야기는 펼쳐진다.
|출판사 서평|
세계가 사랑한 작가
중국 최고 이야기꾼의 귀환!
《허삼관 매혈기》《인생》으로 한국 독자들에게 중국 소설의 새로운 재미를 일깨워준 위화의 신작 장편소설《제7일》이 도서출판 푸른숲에서 출간되었다. 중국에서는 올해 6월에 출간되었으며, 신작에 대한 독자들의 기대가 집중된 만큼 초판 60만 부를 찍으며 올해의 화제작으로 떠올랐다. 작가 스스로도 ‘30년 문학 인생의 결정판’으로 꼽는 작품이며 한국인이 가장 사랑한 중국 작가로 꼽히는 위화의 매력을 오랜만에 한껏 음미할 수 있는 작품이다. 이 책은 주인공 양페이가 불의의 사고로 죽고 난 후, 이승은 떠났지만 저승으로 넘어가지 못한 7일 동안(창세기에서 모티브를 땄다) 벌어지는 일들을 담았다. 작가는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보내면서도 사회의 부조리마저 유머러스하고 흡인력 있는 이야기로 탈바꿈시키며 독자들로 하여금 웃음과 눈물을 동시에 경험하게 한다.
‘나는 인생의 본질에 다가서려 노력한다. 일상의 본질은 내 관심사가 아니다. 어차피 일상이란 진짜와 가짜가 섞여 혼탁한 상태가 아닌가?’라는 위화의 말은 중국과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그의 문학의 보편성이 어디로부터 왔는지를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고도로 개인화된 취향과 그 취향을 증명하는 소비와 스타일을 찬양하는, 요즘 대세를 이루는 일군의 소설가들과는 달리, 위화는 인생 자체에 물음을 던지고 그에 대한 해답을 향해 우직하게 걸어가며 한 자 한 자 써내려가는 작가다. 그의 작품은 ‘인간이란 어떤 존재이며, 인생이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해 독자들로 하여금 곱씹어보게 하는 저력을 지니고 있으며, 정이나 관계, 인연이나 인간성 등 인류가 부딪치며 살아갈 수밖에 없는 인생의 요소들을 작품 곳곳에 풍부하게 담고 있다.
또한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로의 전환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 여느 나라와도 다른 여정을 꿋꿋이 밟아가는 중국 사회만의 개별성을 작품 안에 잘 녹여내어 독자들을 더욱 다채롭고 흥미진진한 경험으로 이끈다. 그의 작품은 독자들이 원하는 재미와 감동을 주는 차원을 넘어 중국 사회를 이해하는 문화적 창문의 역할까지 하고 있는 것이다. ‘헤밍웨이를 연상시키는’ 간결한 문장으로 독자들에게 편안히 다가서면서도 ‘현대판 발자크([르몽드])’, ‘현대판 찰스 디킨스([ARD, 독일 제1공영방송])등의 평을 들을 만큼 치밀한 현실 묘사를 놓치지 않는 그의 작품은 전 세계 평단과 문화 예술계의 주목을 받으며 재해석되고 있다.
잘 알려진 대로 그의 이전 작품 《인생》은 장이머우 감독의 연출로 영화화되어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받았으며, 이는 전 세계적인 ‘위화 현상’의 기폭제가 되었다. 또한 한국에 소개된 지 10년이 넘도록 스테디셀러로 사랑받고 있으며 중국 소설 초심자들이 꼭 읽어야 할 책으로 꼽히는 ≪허삼관 매혈기≫는 우리나라에서 배우 하정우의 주연 겸 연출로 영화화가 확정되어 내년(2014년) 개봉을 앞두고 있다.
‘제 7일’의 의미
_환상과 실제를 넘나들며 인생의 모든 기쁨과 슬픔, 선택과 희생을 서사로 품다
‘7일’은 창세기에서 천지 만물이 창조되는 기간을 말한다. 종교적으로 해석했을 때, 이 기간은 이 세계가 시작된 극적인 순간이다. 위화는 이에 인생을 마감한 후의 7일을 인간에게 대입했다. 시작과 대비되는 끝에도 같은 정도의 무게를 둔 것이다. 7일은 시간이기도 하고, 삶은 마감하였으나 묘지에 안장되기 전, 즉 이승과 저승 사이의 공간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 작품에서 7일은 양페이라는 한 인간이 자신의 인생을 마감한 이후 이승에서의 추억을 되새기고 저승의 안식을 기원하며 인생의 본질을 찾고 삶의 풍경을 재구성할 수 있는 시간이자 공간인 셈이다.
또한 살아 있는 동안 제대로 대접받지 못했던, 죽음마저 단신으로 처리되고 장례식조차 평온하게 치러낼 수 없는 이들이 인간으로서의 의미,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를 다시금 음미해볼 수 있는 시간이다. 인간을 인간으로서 존재하게 하는 힘을 다시 찾게 하는 기간인 것이다.
7일은 또한 이승에서의 묵은 앙금을 털어버릴 수 있는 공간이다. “두 사람의 원한은 생사의 경계를 넘지 않았다. 원한은 저지당한 채 그 떠나간 세계에 남았다”는 구절처럼, 인간이 본래의 선한 모습으로, 조건이나 선입견 없이 다시 상대와 마주할 수 있는 공간이다. 떠나보낼 사람은 훌훌 떠나보내고, 다시 만나야 할 사람은 꼭 다시 만나게 되는 그런 공간이다.
주인공인 양페이가 죽고, 화장터에 가기 위한 채비를 하면서 작품이 시작된다. 즉 이승을 떠나긴 했으나 저승에는 아직 도달하지 못한 상태다. 묘지가 없고 애도해줄 유족이 없는 양페이는 화장터에서 차례를 기다리다 그곳을 떠나 7일간의 여정을 시작한다.